전자기기, 배터리, 자동차, 건축자재 등 화재 위험이 존재하는 산업 제품에는 이제 ‘난연성’이 선택이 아닌 기본 요건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다양한 소재에 난연제를 첨가하거나, 난연성이 강화된 폴리머를 사용하는 방식이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폴리아마이드(PA)는 자체적으로 우수한 기계적 성질과 함께, 난연 처리에 최적화된 구조로 널리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난연제의 종류부터 폴리아마이드의 난연 특성까지 산업 현장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난연제(Flame Retardant)*는 연소 시 불의 확산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물질로, 소재 내부에 첨가되거나 표면 처리 방식으로 적용됩니다.
🔌 전기합선, 과열에 대한 화재 예방
📜 UL94, RoHS, IEC 등 국제 인증 요건 충족
🛡 사용자 및 작업자의 안전 확보
난연제는 작용 메커니즘과 환경 안전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염소/브롬 기반 → 효과 빠름
유독가스 발생으로 현재는 사용 제한 추세
예: TBBPA, Deca-BDE
인계, 질소계, 무기계 등
친환경적이며 RoHS, REACH 규제 대응
예: 알루미늄 수산화물(ATH), 인계계(P-based)
표면 탄화막 형성 → 산소 차단
폴리아마이드와 매우 높은 상용성
폴리아마이드는 자가소화성(Self-extinguishing)을 지니고 있어 기본적으로 어느 정도의 난연성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산업 기준인 UL94 V-0 등급을 달성하려면 난연제가 첨가된 난연성 PA 제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불이 붙으면 서서히 녹아내리며 연소
불꽃이 제거되면 스스로 꺼지는 성질
하지만 고온·산소 조건에서 연소 지속 가능
| 등급 | 설명 | 시험 조건 |
|---|---|---|
| V-0 | 10초 내 소화, 낙하물 없음 | 최고 난연성 |
| V-1 | 30초 내 소화, 낙하물 없음 | 보통 난연성 |
| V-2 | 30초 내 소화, 낙하물 있음 | 낮은 난연성 |
→ 난연 PA는 V-0 등급 획득을 목표로 설계되며, 인계 무할로겐계 난연제가 주로 사용됩니다.
최근에는 PA 기반의 핫멜트 접착제에까지 난연 처리가 적용되며, 전자·전기차·배터리 분야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 VOC ZERO
🌡 80도부터 200도까지 넓은 가공범위
🔒 UL94 V-0 등급 충족 가능
♻ 식물성 오일 기반 원료 80% 사용 → 고친환경성
EV 배터리 모듈 고정
전기·전자제품 내부 절연 접착
고온·고내열 환경의 접착 솔루션
이제 난연성과 친환경성은 동시에 요구되는 시대입니다.
과거에는 고난연 소재가 환경 유해성과 맞바꾸는 관계였다면, 현대의 폴리아마이드 기반 소재는 VOC Zero + 고성능 난연성 + 식물성 원료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고 있습니다.
✅ 인계 무할로겐계 난연제와 결합된 PA는
✅ UL94 V-0 등급 확보가 가능하며
✅ 환경 규제까지 대응 가능한 미래지향적 소재입니다.
📌 PA 기반 난연 핫멜트를 적용해 보고 싶으신가요?
지금 문의 주시면 소재 컨설턴트와 1:1 상담을 통해
✔ 적용 대상 분석
✔ 무상 샘플 제공
✔ UL 테스트 대응 자료까지 안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