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일·연료 필터용 접착제 완전 분석 2편 / 공정 전환 체크리스트: 폴리아마이드 핫멜트 적용 전 확인할 것들
등록일2025. 04. 18
조회수32
링크 복사하기
✅ 왜 ‘ 전환 체크리스트’ 가 필요한가?
폴리아마이드 핫멜트는 플라스티솔, 2 액형 PU, EVA 기반 핫멜트와 비교해
경화 방식, 가공 온도, 장비 구조, 작업 속도 등에서 차이가 큽니다.
아무리 성능이 좋아도, 공정이 안 맞으면 쓸 수 없습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필터 제조사 입장에서 공정 전환 시 확인해야 할 5 가지 핵심 항목을 정리했습니다.
① 설비 온도 범위: 최소 180℃까지 가능해야
폴리아마이드 핫멜트는 일반적으로 **180~220℃**의 온도에서 가공됩니다.
기존 EVA 기반 핫멜트 장비가 120℃ 이하까지 세팅되어 있다면,
히터 업그레이드 또는 고온형 디스펜서 사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권장 조건: 호스/탱크/노즐 전 구간 200~220℃ 온도 유지 가능 장비
② 도포 방식에 따른 점도 세팅
폴리아마이드는 조성에 따라 점도가 다양합니다.
엔드캡 도포인지, 필터미디어 접착인지에 따라 아래를 고려해야 합니다.
도포방식
권장 점도
기타 조건
핸드건 도포
3,000 ~ 8,000 cps
작업자 숙련도 중요
자동 디스펜서
2,000~4,000 cps
라인 속도에 맞는 제어 필요
로터리 밸브
5,000~12,000 cps
정량 토출 안정성 확보 필수
점도가 높다고 좋은 게 아닙니다.
작업성과 도포 균일성을 고려한 최적 범위를 조정해야 합니다.
③ 오픈타임 vs 세팅타임 조절
개념 설명오픈타임 도포 후 접촉 가능한 시간세팅타임 접촉 후 접착이 완료되는 시간
개념
설명
오픈타임
도포 후 접촉 가능한 시간
세팅타임
접촉 후 접착이 완료되는 시간
빠른 생산성을 원한다면 세팅타임은 짧고, 오픈타임은 적당한 구조가 적합합니다.
④ 보관 및 작업장 환경
폴리아마이드 핫멜트는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품질이 유지됩니다.
- 밀봉 보관 (개봉 후 빠른 시간내에 사용 권장)
- 제습 환경 작업실 또는 건조 에어라인 사용
- 잔량 재사용 시 건조 오븐 처리 후 사용
⑤ 장비 세척 및 전환 시 주의사항
기존 플라스티솔, EVA와 폴리아마이드는 혼용 불가입니다.
라인 전환 시 반드시 기존 잔량 제거 및 배관 세척이 필요합니다.
구분
전환 시 필요 조치
탱크
예열 후 완전 배출 -> 공탱크로 헹굼
호스
세척 핫멜트로 플러시 작업
노즐
예열 후 수동 분사 ->재조립 권장
🧩 마무리 정리: 공정 전환 전 체크리스트 5
1. 고온 장비 가용 여부 확인 2. 점도 조건 조율 및 디스펜서 유형 검토
3. 생산 라인 속도에 따른 오픈/세팅타임 설계
4. 수분 관리 체계 점검 및 보관 방식 정비
5. 장비 전환 시 세척 플로우 확보